ㆍ유 “보수 재건 3원칙 지켜지면 아무것도 따지지 않겠다”
ㆍ한국당, 협의기구 준비…흡수 통합 땐 ‘도로 새누리’ 우려
ㆍ‘변혁’과 우리공화당, 박근혜 탄핵 두고 근본적 차이 드러내보수통합을 제안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왼쪽 사진).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 대표인 유승민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통합에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권호욱 선임기자 biggun@kyunghyang.com
총선을 5개월여 앞두고 범보수 정치세력이 단일대오 구축을 위한 대장정에 돌입했다.
바른미래당 내 비당권파 모임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의 유승민 대표는 7일 신당 창당을 선언하면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통합 제안에 화답했다. 호남 기반의 국민의당 출신 안철수계까지 통합한다면 1990년 3당 합당 수준에 비견될 ‘보수 빅텐트’가 세워지는 것이란 평가까지 나온다. 이들은 통합의 범위와 방식을 두고도 밑그림을 제시했다. 하지만 통합 논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간극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리더십, 명분 선점 등을 놓고 보수통합 주도권 경쟁도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 통합 첫 행보 뗀 보수정당
황 대표와 유 대표가 발을 맞추면서 한국당과 변혁의 통합 논의는 가속도를 받고 있다. 유 대표는 신당기획단을 꾸려 통합의 첫발을 내디뎠다. ‘탄핵의 강을 건너자’ ‘개혁보수로 나아가자’ ‘낡은 집을 허물고 새집을 짓자’는 보수 재건의 3대 원칙만 지켜진다면 “아무것도 따지지 않겠다”며 적극성도 보였다.
한국당도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보수통합을 논의하는 당내 통합협의기구 실무팀에 홍철호·이양수 의원을 선정해 준비 작업을 마쳤다. 특히 홍 의원은 복당파로 2017년 19대 대선 때 바른정당 소속 유승민 후보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이 의원은 우리공화당 홍문종 공동대표의 보좌관 출신이다. 각각 변혁과 우리공화당의 출구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다. 박맹우 사무총장은 “다른 당(변혁)이 준비되면 오늘이라도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했다.
황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은 모든 것을 통합의 대의에 걸어야 할 때”라며 “통합이 정의고, 분열은 불의”라고 강조했다.
한국당 내부도 통합 논의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초선 의원 44명은 “향후 보수대통합의 길에 밀알이 되기로 결의했다”고 선언했다. 모임을 주도한 이양수 의원은 “특정 사안을 두고 조건을 붙이는 게 대통합에 저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미래를 보고 통합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라며 “과거 사안에 발목 잡힐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통합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문제는 따지지 않겠다는 의미다. 초선 의원들의 성명서에는 ‘잠룡’들과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의 ‘험지 출마’ 요구도 담겼다. 초·재선 의원 모임인 ‘통합과 전진’도 통합 지지 의사를 밝혔다.
통합의 범위와 방식도 화두로 떠올랐다. 현실적인 방법은 ‘당 대 당’ 통합이다. 한국당은 변혁과 우리공화당을 포함한 3당 합당을 원하지만, 변혁과 우리공화당 입장차가 큰 만큼 가능성이 낮다.
현재로선 한국당과 변혁의 당 대 당 통합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한국당이 변혁을 흡수하는 형태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이전의 ‘도로 새누리당’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다른 형태는 ‘제3지대 신당’ 창당이다. ‘보수 빅텐트’에 가깝다. 유 대표가 주장하는 “낡은 집을 허물고 새집을 짓자”와 상통한다. 안철수 전 의원의 합류도 관건이다.
■ 보수통합 난제도 수두룩
보수 전체가 통합으로 들썩거리면서 난제도 명확해졌다. 황 대표와 유 대표 모두 당내 혼란 돌파용 카드로 보수통합을 택했기 때문이다.
먼저 변혁과 우리공화당의 깊은 갈등이 드러났다. 유 대표는 “지금 보수가 3년 전 문제를 갖고 계속 손가락질을 하고 잘잘못을 따지고 책임을 묻는다면 보수통합은 불가능하다”며 ‘탄핵 5적’을 언급한 우리공화당을 비판했다. 변혁의 이혜훈 의원도 우리공화당을 향해 “(통합을) 할 리가 없는 분들”이라고 말했다. 우리공화당 홍 공동대표는 ‘가짜보수’와 ‘진짜보수’론을 폈다. 변혁을 가짜보수에 비유한 것이다.
인적쇄신과 보수통합의 순서를 놓고도 한국당과 변혁의 인식차가 드러났다. 이혜훈 의원은 “혁신이 먼저”라면서 “(혁신이 되지 않으면) 통합이 돼도 아무 효과가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당은 인적쇄신보다 통합을 앞세웠다. 통합 이전에 ‘물갈이’ 등을 진행하면 인력 유출과 보수 헤게모니 싸움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합이 보수재편 논의나 당 안정을 받쳐주는 안전장치인 셈이다. 또 변혁 내부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의 보수통합 합류 가능성도 미지수다.
박순봉·허남설 기자 gabgu@kyunghyang.com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32&aid=0002973514